BOARD
라이브 소식
News
[위드인뉴스] 뮤지컬 '마리 퀴리', 7개월 간의 대장정 마침표
2024.05.13
<마리 퀴리> 세 번째 시즌이 지난 5월 12일 김해 투어를 마지막으로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2023년 10월 부산에서 출발한 이번 시즌은 대구, 서울, 광주, 안동을 거쳐 2024년 5월 김해까지 모두 6개 지역에서 공연을 진행했다. 세 번째 시즌으로 돌아온 이번 공연은 김소현, 이정화, 유리아가 타이틀롤인 ‘마리 스클로도프스카 퀴리’ 역을 맡고, 강혜인, 효은, 최지혜가 진실을 위해 권력과 맞서는 ‘안느 코발스키’ 역을 맡아 여성 간의 연대 스토리를 보여줬다.
마리 퀴리의 자상한 남편이자 든든한 연구 동반자 ‘피에르 퀴리’ 역은 박영수, 김지철, 임별이, 라듐 시계 공장의 대표이자 마리의 연구를 지원한 기업가 ‘루벤 뒤퐁’ 역은 김찬호, 양승리, 안재영이 맡았다. 마리의 맏딸 이렌, 그레이스 병원장 폴, 라듐 시계 직공들 또한 완벽한 캐릭터 해석을 보여주었다. 민정아, 옥경민, 이찬렬, 신은호, 홍유정, 유낙원, 송상훈, 조배근, 임상희, 윤수아, 황수빈, 김한결은 기립 박수와 환호를 이끌어 냈다.
이번 시즌에서 이목을 끈 것은 서울 공연 진행 시 티켓 구매가의 10%가 차세대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후원금으로 사용되는 ‘여성과학기술인 후원 티켓’을 출시한 것이다.
서울 공연 종료 후 후원 티켓 판매금의 10%에 제작사 라이브㈜가 후원금을 보태 여성과학기술인회관 건립 기금으로 300만 원을 기부해 의미를 더했다. 여성과학기술인회관 건립은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가 창립 30주년을 기념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과학기술인 후원 캠페인의 일환으로 서울 공연에 국내 여성과학기술인 150명을 초청해 여성과학기술인을 격려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또한 이번 시즌은 각 투어 지역에서 이창환, 윤진희 물리학과 교수와 박병성 뮤지컬 평론가가 함께하는 ‘과학 토크 콘서트’, 제작사 라이브㈜ 강병원 대표 겸 프로듀서가 강연자로 나선 ‘마스터 클래스’로 구성된 뮤지컬 워크숍을 진행해 관심을 모았다.
부산과 광주 공연은 이창환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가 ‘마리 퀴리의 삶, 라듐, 그리고 방사능의 원리’란 주제로 강연에 나섰고, 광주, 안동, 김해 세 지역은 윤진희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가 ‘마리, 100년에 걸쳐 찾은 이름’이란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다섯 개 지역의 뮤지컬 워크숍에 모두 참여한 박병성 뮤지컬 평론가는 뮤지컬 <마리 퀴리> 공연 실황과 함께 작품 해설을 들려줬다. 뮤지컬 워크숍에 참석한 한 관객들은 “물리학과 교수님이 물리학적 지식을 쉽게 설명해 주셔서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
“뮤지컬 평론가가 알려주는 관람 포인트로 작품을 두 배로 즐길 수 있게 됐다.”라며 워크숍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냈다.
또한 뮤지컬 최초로 성수동에서 체험형 팝업스토어를 오픈해 새로운 관객층을 극장으로 유입시켰다. 뮤지컬 <마리 퀴리>의 주요 배경을 모티브로 기획된 ‘마리 퀴리 팝업스토어’는 ‘마리의 방’, ‘언다크 공장’, ‘마리의 실험실’, ‘주기율표 포토존’ 4개 섹션으로 공간을 구성해 흥미를 유발했다.
2023년 11월 3일부터 13일까지 11일 동안 운영된 ‘마리 퀴리 팝업스토어’는 약 1만 명이 다녀갔으며, 제작사 라이브㈜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실제 팝업스토어를 통해 뮤지컬 <마리 퀴리>를 알게 된 일반 대중들이 팝업스토어 현장에서 증정된 할인권으로 티켓을 예매해 극장을 찾았다.
뮤지컬 <마리 퀴리>는 오는 6월 1일부터 7월 28일까지 런던 웨스트엔드 채링 크로스 시어터(Charing Cross Theater)에서 영어 버전 초연을 올린다. 뮤지컬 <마리 퀴리>는 2022년 마리 퀴리의 조국인 폴란드 ‘바르샤바 뮤직 가든스 페스티벌’에 참여해 그랑프리 격인 ‘황금물뿌리개상’을 수상했고, 2023년 일본 도쿄와 오사카에서 성공리에 라이선스 초연을 올린 바 있다. 2022년과 2023년 영국 런던에서 하이라이트 쇼케이스와 전막 쇼케이스를 올려 디벨롭해온 영어 버전 초연이 어떤 반응을 얻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뮤지컬 <마리 퀴리>는 성공한 과학자 이면의 인간적인 모습을 그려낸 작품으로 2021년 제 5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대상, 프로듀서상, 극본상, 작곡상, 연출상 5개 부문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김예림 기자